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sychology112

[심리용어] 매칭 리스크 의식(Matching Risk Awareness)이란 무엇일까요? 매칭 리스크 의식(Matching Risk Awareness ) : 소비 불안 해소하기오늘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겪는 소비 불안, 즉 '매칭 리스크 의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개념은 조금 생소할 수 있겠지만, 알고 나면 앞으로의 쇼핑이 훨씬 더 즐거워질 거예요! 저는 가끔 쇼핑을 하는 것 자체가 일거리처럼 느껴지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가 있더라구요. 꼭 돈의 문제가 아니라, 세상은 넓고 상품은 많고, 내가 이것을 사는 것이 과연 좋은 결정일지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야하는 것이 있는데도 이 상품, 저 상품을 두고 고민을 하다가 어느 순간 질려버려서 나중으로 미룰 때가 있어요. 그러다보면 적시에 사뒀어야 하는 물건을 못 사는 경우도 생겨서 결국엔 후회하게 됩니다.  이렇듯 매칭 리스크 .. 2024. 7. 4.
[심리용어]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이란 무엇일까요? 리플리 증후군 : 가짜가 현실이 되는 순간오늘은 리플리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리플리 증후군은 많이들 들어보셨을 거예요! 전 이 소재의 영화나 드라마, 또는 현실에서 이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로 인해 벌어지는 사건 등을 너무나도 흥미롭게 찾아 보거든요. 그래서 벌써부터 흥미진진하네요. 여러분도 한 번쯤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가짜 신분으로 살아가는 장면을 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바로 이 리플리 증후군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리플리 증후군이란?리플리 증후군은 현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고, 거짓된 이야기를 진짜처럼 믿고 살아가는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이 증후군의 이름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의 소설  Talented Mr. R.. 2024. 7. 3.
[심리용어]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란 무엇일까요? 칵테일 파티 효과는 파티나 행사 현장과 같은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특정 소리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런 경험 다들 하지 않으셨나요?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한꺼번에 이야기하고 있는 시끄러운 파티 장소에서도 여러분은 친구나 지인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시끄러워도 내가 관심을 갖는 이야기는 골라서 들을 수 있는 현상으로, 이는 우리의 뇌가 중요한 소리를 필터링하고 주변 소음을 무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마치 요즘 대부분의 이어폰에 추가된 '노이즈 캔슬링' 기능 같지 않나요? 물론 노이즈 캔슬링은 겨우 외부의 소리만 차단 또는 조절해 줄 뿐이지만, 우리의 뇌는 여기저기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칵.. 2024. 7. 2.
[심리용어] 샤워 효과(Shower Effect)란 무엇일까요? 백화점 좋아하시나요? 예전에 전 늘 약속 장소를 백화점으로 잡고, 친구를 기다리면서 백화점을 구경하곤 했어요. 백화점은 늘 좋은 향기가 나고 쾌적한데다가, 특히 요즘같이 더운 때에는 안에 들어가서 시간을 보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죠. 수많은 상품들을 구경하는 것도 재미있구요. 백화점은 꼭 무언가를 사러 갔다가, 여기 저기 돌아다니다보니 다른 것들도 추가적으로 사게 되지 않나요? 만약 3층에 있는 특정 매장을 방문했다고 하더라도, 내려오는 길에 2층이나 1층의 매장들도 자연스럽게 구경을 하게 됩니다. 백화점을 많이 다녀보신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가 그렇거든요. 내려오는 에스컬레이터가 바로 다음으로 이어지지 않고 꼭 한 바퀴를 돌게 만들어요. 이는 바로 '샤워 효과'를 노린 백화점의.. 2024. 7. 1.
728x90
반응형